미쓰즈카 히로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쓰즈카 히로시는 1927년 미야기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중의원 의원 비서를 거쳐 1963년 미야기 현 의회 의원에 당선되었다. 1972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된 후 10선 의원을 지냈다. 후쿠다 파벌, 아베 파벌을 거치며 운수대신, 통상산업대신, 외무대신, 대장대신 등을 역임했다. 1991년 아베 신타로 사망 후 파벌을 계승하여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1998년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으로 대장대신에서 사임했다. 2003년 정계에서 은퇴하고, 2004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그는 국철 개혁, 경제 정책, 외교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경제산업성 -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1918년 군마현 출생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 해군에서 복무했으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행정 개혁, 국철 민영화 등을 추진하다가 2019년 사망했다. - 일본 경제산업성 - 오부치 유코
오부치 유코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으로, 아버지 오부치 게이조의 딸이며, 와세다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경제산업대신을 역임했으나 정치자금 오용 의혹으로 사임했다. - 일본의 운수대신 - 미키 다케오
미키 다케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제66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록히드 사건 조사와 정치 개혁을 시도했으나, 정치적 이상과 현실 간 괴리, 강직한 성격 등으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일본의 운수대신 -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1918년 군마현 출생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 해군에서 복무했으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행정 개혁, 국철 민영화 등을 추진하다가 2019년 사망했다. - 보스정치인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보스정치인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미쓰즈카 히로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쓰즈카 히로시 |
출생일 | 1927년 8월 1일 |
출생지 | 미야기현 미사토정 |
사망일 | 2004년 4월 25일 |
사망지 | 도쿄도 |
정당 | 자유민주당 |
학력 | 구제 도쿄고등수의학교 와세다대학교 법학부 |
칭호/훈장 | 정3위 욱일대수장 수의사 |
배우자 | 미쓰즈카 히사코 |
정치 경력 | |
대장대신 | 재임 기간: 1996년 11월 7일 ~ 1998년 1월 28일 총리: 하시모토 류타로 |
외무대신 | 재임 기간: 1989년 6월 3일 ~ 1989년 8월 10일 총리: 우노 소스케 |
통상산업대신 | 재임 기간: 1988년 12월 27일 ~ 1989년 6월 3일 총리: 다케시타 노보루 |
운수대신 | 재임 기간: 1985년 12월 28일 ~ 1986년 7월 22일 총리: 다케시타 노보루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미야기 1구 (1972년–1996년), 미야기 3구 (1996년–2003년) 재임 기간: 1972년 12월 11일 ~ 2003년 10월 10일 당선 횟수: 10회 |
자유민주당 간사장 | 총재: 고노 요헤이 재임 기간: 1995년 8월 ~ 1995년 10월 |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총재: 가이후 도시키 재임 기간: 1989년 ~ 1990년, 1992년 ~ 1993년 |
자유민주당 세제조사회장 | 총재: 가이후 도시키 재임 기간: 1989년 9월 ~ 1989년 10월 |
미야기현 의회 의원 | 재임 기간: 1963년 ~ 1970년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미쓰즈카 히로시 |
2. 생애
1927년 미야기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후 정치에 입문했다. 1963년 미야기현 의회 의원을 거쳐 1972년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중의원에 처음 당선된 이후 연속 10선[25]을 기록했다.
정치 활동 초기부터 후쿠다 다케오 파벌(세이와정책연구회)에 속했으며, 이후 아베 신타로가 파벌을 계승하자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등과 함께 파벌 내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1985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에서 운수대신으로 처음 입각하여 국철 분할 민영화를 주도했으며[25], 이후 통산대신, 외무대신, 자민당 정조회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25]. 리크루트 사건 당시 연루되지 않아 파벌 내 입지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1991년 아베 신타로 사망 후, 파벌 내 경쟁에서 승리하여 아베파를 계승, 미쓰즈카파를 이끌었으며[25] 같은 해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25]. 이후 자민당 간사장을 지냈고, 1996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 대장대신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대장대신 재임 중 발생한 산이치 증권, 홋카이도 타쿠쇼쿠 은행 파산 등 금융 위기[29]와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1998년 1월 사임했다[25].
대장대신 사임 후 정치적 영향력이 감소했으며, 1998년 말 모리 요시로에게 파벌 회장직을 넘기고[25] 정계 일선에서 물러났다. 2003년 고령과 건강 문제를 이유로 정계를 은퇴했고[25], 2004년 4월 25일 폐렴으로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3][2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미쓰즈카 히로시는 1927년 8월 1일 미야기현 오토다군 기타우라촌(현 미사토정)에서 14남매(남자 6명, 여자 8명)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1] 미야기현립 오구니타농림학교를 졸업하고, 도쿄고등수의학교(현 일본대학 생물자원과학부)에서 수의학 학위를 취득하여 수의사 면허를 얻었다.[1] 이후 와세다대학 제1법학부에 학사편입하여 1951년 법학 학위를 받고 졸업했으며,[1] 재학 중에는 웅변회에서 활동했다.대학 졸업 후 혼마 슌이치, 호시카 요시시로 두 중의원 의원의 비서를 지냈다. 1959년 미야기현 의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63년 선거에서 다시 도전하여 처음 당선되었고,[25] 이후 두 차례 임기를 수행했다.
2. 2. 정치 경력
1951년 와세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후, 두 명의 중의원 의원 비서를 거쳐 1963년 미야기 현 의회 의원으로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했다.[25] 1970년 센다이시장 선거에서는 낙선했으나, 1972년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처음 당선된 이후 연속 10선 의원을 지냈다.[23][4][25]자유민주당 내에서는 후쿠다 다케오 파벌(세이와정책연구회)에 속했으며, 이후 아베 신타로가 파벌을 계승하자 파벌 내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5][25] 1985년 제2차 나카소네 제2차 개조내각에서 운수대신으로 처음 입각하여 국철 분할 민영화를 추진했다.[25] 이후 통산대신, 외무대신, 자민당 정조회장 등 주요 당직과 각료직을 역임하며 경력을 쌓았다.[25]
1991년 아베 신타로 사망 후, 파벌 내 경쟁을 거쳐 아베파를 계승하고 미쓰즈카파를 이끌게 되었다.[25][8] 같은 해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미야자와 기이치에게 패배했다.[4][25] 이후 자민당 간사장 등을 지냈으며, 1996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 대장대신으로 임명되었다.[18] 그러나 대장대신 재임 중 발생한 연이은 금융기관 파탄과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지고 1998년 1월 사임했다.[19][20][25]
대장대신 사임 이후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었고, 1998년 말 모리 요시로에게 파벌 회장직을 넘겨주고[10] 정계 일선에서 물러났다.[25] 2003년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완전히 은퇴했다.[25]
2. 2. 1. 자유민주당 내 활동
1972년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 공인으로 미야기현 제3선거구에 출마하여 처음 당선되었고[23][4][25], 이후 10선 연속으로 당선되었다.[25] 그는 중의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자유민주당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미쓰즈카는 후쿠다 다케오가 이끌던 파벌(세이와정책연구회)에 속했으며, 신인 의원 시절에는 당내 우파 그룹인 세이란카이 결성에 참여했다.[3] 그는 나카가와 이치로의 신임을 얻어, 후쿠다파 소속이면서도 1979년에 설립된 나카가와 파벌(자유혁신동우회)의 간사장을 맡기도 했다. 정책에 밝아 "운수족" 의원으로 알려졌으며, 1982년 당내 '국철 재건 소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국철 개혁에 관여했다.[26][25]
1986년, 아베 신타로가 후쿠다파를 계승하자 미쓰즈카는 파벌 내 사무총장이 되었고, 가토 무쓰키, 모리 요시로, 시오카와 마사주로와 함께 파벌 내 실력자 그룹인 "아베파 사천왕" 중 한 명으로 불렸다.[25][5] 1988년 리크루트 사건이 터지면서 파벌 내 경쟁자였던 가토와 모리가 정치적 타격을 입었으나, 사건에 연루되지 않았던 미쓰즈카는 이후 통산대신, 외무대신, 자민당 정조회장 등 주요 직책을 연이어 맡으며 당내 입지를 빠르게 강화했다.[25]
1991년 아베 신타로가 사망하자, 미쓰즈카는 가토 무쓰키와의 치열한 파벌 주도권 다툼, 이른바 "삼륙전쟁"에서 승리하여 아베파(세이와정책연구회)를 계승하고 자신의 이름을 딴 미쓰즈카파로 개칭했다.[25][8] 이 과정에서 경쟁자였던 가토는 1991년 파벌에서 제명되었다.[6] 미쓰즈카의 파벌 장악은 기존의 다케시타 노보루 파벌과의 연대 관계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7] 미쓰즈카파는 1990년대 초 자민당 내 5대 파벌 중 하나로 부상했으며[9], 1992년 12월에는 73명의 소속 의원으로[8], 1996년에는 74명의 의원으로[11] 당내 최대 파벌의 지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파벌 회장으로서 미쓰즈카는 1991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미야자와 기이치에게 패배했다.[4][25] 이후 미야자와 내각에서 정조회장을 맡았고[25], 고노 요헤이 총재 시절인 1996년에는 자민당 간사장으로 임명되었다.[11][12]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는 대장대신을 역임하는 등 총리·총재 후보로서 경력을 쌓아나갔다. 그러나 1994년에는 총리직 출마를 모색하던 중 건설 비리 연루 의혹이 제기되어 정치적 타격을 입기도 했다. 비록 기소되지는 않았으나, 이 사건으로 인해 공개적인 비판에 직면했다.[3]
1997년 대장대신 재임 중 산이치 증권, 홋카이도 타쿠쇼쿠 은행 파산 등 금융 위기 상황에서 눈에 띄는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의 책임을 지고 1998년 1월 사임했다.[25][29] 이후 1999년 모리 요시로에게 파벌 회장직(세이와정책연구회 회장)을 넘겨주고 자신은 명예회장으로 물러났다.[10][25] 이 과정에서 파벌 운영 방식에 반발한 카메이 시즈카, 히라누마 다케오 등 일부 중진 의원들이 파벌을 탈퇴하여 새로운 파벌(무라카미·카메이파)을 결성하기도 했다.[30]
2001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는 중의원 동기인 고이즈미 준이치로를 지지했다. 2003년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는 고령과 건강 문제를 이유로 출마하지 않고 정계를 은퇴했다.[25]
2. 2. 2. 장관 경력
미쓰즈카 히로시는 여러 내각에서 주요 장관직을 역임하며 정치 경력을 쌓았다. 그의 주요 장관 경력은 다음과 같다.직책 | 내각 | 임기 | 주요 활동 및 비고 |
---|---|---|---|
운수대신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2차 개조) | 1985년 12월 ~ 1986년[1][25] | 첫 입각. 국철 분할 민영화 및 재정 구조 개혁 추진[25]. |
통산대신 | 다케시타 개조내각 | 1988년 12월 28일 ~ 1989년[1][14][15] | 다무라 하지메 후임으로 임명됨. |
외무대신 | 우노 내각 | 1989년 6월 ~ 1989년 8월[16] | 재임 중 일본 기업들이 "화재 현장에서 도둑처럼 돈을 벌려고 한다"는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고 비판함[17]. |
대장대신 | 제2차 하시모토 내각 | 1996년 11월 7일 ~ 1998년 1월 28일[18] | 쿠보 와타루 후임. 산이치 증권, 홋카이도 타쿠쇼쿠 은행 파산 등 금융 위기 발생[29].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의 책임을 지고 사임[19][20][25]. 후임은 마쓰나가 히카루[21]. |
2. 3. 정계 은퇴 및 사망
1997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의 대장대신으로 재임하던 시기, 산이치 증권, 홋카이도 타쿠쇼쿠 은행의 연쇄 경영 파탄 등 전례 없는 금융 위기에 직면했으나, 뚜렷한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9] 여기에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까지 불거지면서 결국 1998년 1월 책임을 지고 대장대신직에서 사임하였다.[25] 또한 1997년 미야기현 지사 선거에서 자민당 추천 후보가 패배하면서 지역 정계에서의 영향력도 약화되었다.결과적으로 내각총리대신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1998년 12월 모리 요시로에게 세이와정책연구회 회장 자리를 물려주고 자신은 명예회장이 되어 정계 일선에서 물러났다.[25] 이후 세이와정책연구회 명예회장으로 활동했으며, 2001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는 동기 당선자인 고이즈미 준이치로를 지지했다. 일본 팔라우 친선 국회의원 연맹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22]
2003년 6월 허리를 다쳐 건강이 악화되었고,[4] 같은 해 8월 건강상의 이유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으며,[4] 10월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불출마하며 공식적으로 정계를 떠났다.[25]
2004년 4월 25일 도쿄의 세이류카 국제병원에서 폐렴(일설에는 폐암[25])으로 사망했다.[23][25] 향년 76세였다.[23]
3. 정책 및 정치적 입장
1972년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 공인으로 출마하여 처음 당선된 이후[25], 10선 연속 당선되었다[25]. 정치 입문 초기에는 보수 성향의 정책 그룹인 세이란회 결성에 참여했으며, 후쿠다파 소속이면서도 나카가와 이치로의 신임을 얻어 1979년 나카가와파의 간사장을 맡기도 했다.
정책 분야에서는 특히 운수 정책에 정통하여 '운수족'의 유력 의원으로 부상했다. 1982년에는 당내 '국철 재건에 관한 소위원회'(미쓰즈카 소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국철 개혁 논의를 주도했으며[25][26], 1985년 제2차 나카소네 제2차 개조내각에서는 운수대신으로 입각하여 국철 분할 민영화를 추진했다[25].
1986년 아베 신타로가 후쿠다파를 계승하자 파벌 사무총장에 취임하며 가토 록가츠, 모리 요시로, 시오카와 마사지로와 함께 '아베파 사천왕'으로 불리는 실력자로 성장했다[25]. 1988년 리쿠르트 사건으로 경쟁자인 가토와 모리가 정치적 타격을 입은 사이, 사건과 무관했던 미쓰즈카는 통산대신, 외무대신, 자민당 정무조사회장 등 요직을 연이어 맡으며[25] 정치적 입지를 빠르게 다졌다.
1991년 아베 신타로 사후, 파벌 후계 자리를 놓고 가토 록가츠와 벌인 이른바 '삼륙전쟁'에서 승리하여 아베파를 계승, 미쓰즈카파를 이끌게 되었다[25][34]. 같은 해 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미야자와 기이치에게 패배했고, 미야자와 내각에서는 다시 정조회장을 맡았다[25]. 이후 자민당 간사장, 제2차 하시모토 내각의 대장대신 등을 역임하며 총리·총재 후보로서의 경력을 쌓아나갔다.
그러나 1997년 대장대신 재임 중 발생한 금융 위기 상황에서 뚜렷한 지도력을 보이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고[29],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의 책임을 지고 1998년 1월 사임했다[25]. 같은 해 모리 요시로에게 파벌 회장 자리를 넘겨주고 명예회장으로 물러나면서[25] 사실상 정치 일선에서 후퇴했다. 2003년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은퇴했다.
3. 1. 국철 개혁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3. 2. 경제 정책
정책통으로서, 특히 운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운수족'의 유력 의원으로 알려졌다. 1982년 2월 발족한 자민당의 "국철 재건에 관한 소위원회"[26] 위원장을 맡아(일명 "미쓰즈카 소위원회"), 국철 개혁을 주도했다[25].1985년 제2차 나카소네 제2차 개조내각에서 운수대신으로 처음 입각하여[25], 국철 분할 민영화와 재정 구조 개혁 노선을 추진하는 데 힘썼다. 이후 리쿠르트 사건의 여파 속에서 1988년 이후 통산대신을 역임했다[25].
1996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는 대장대신(재무상)을 맡았다. 1997년 4월에는 중의원 본회의에서 외국환 및 외국무역관리법 개정 법안의 취지를 설명했는데[28], 이 개정은 일본국이 국제연합의 결의 없이도 독자적으로 경제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법안은 이후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의 근거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장대신 재임 중이던 1997년, 산이치 증권, 홋카이도 타쿠쇼쿠 은행의 연쇄 경영 파탄이라는 전례 없는 금융 위기에 직면했다. 이 과정에서 미쓰즈카는 위기 상황을 수습할 만한 뚜렷한 지도력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홋카이도 타쿠쇼쿠 은행의 구제 금융 과정에서 대장성이 추진하던 이른바 "호송선단 방식"은 홋카이도 은행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결국 영업 양도로 이어졌다(1997년 11월 17일). 이는 "대형 20개 은행은 망하지 않는다"는 정부의 공언이 무너진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산이치 증권마저 1997년 11월 24일 경영 파탄을 맞자, 미쓰즈카는 "시장을 무시할 수는 없다"며 사실상 정책 실패를 인정했다[29]. 결국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까지 터지면서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1998년 1월 대장대신 자리에서 물러났다[25].
3. 3. 외교 정책
1988년 리쿠르트 사건의 여파로 경쟁자들이 정치적 타격을 입은 후, 미쓰즈카는 외무대신을 역임하며 외교 분야에서도 경력을 쌓았다.[25]1997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 재무대신으로 재임하던 시기에는 외국환 및 외국무역관리법 개정을 추진했다. 4월 중의원 본회의에서 직접 법안 취지를 설명했으며[28], 이 개정안은 일본이 국제연합(UN)의 결의 없이도 독자적으로 특정 국가에 대해 경제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실제로 이 법은 이후 2006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독자적인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의 법적 근거가 되었다.
4. 논란 및 비판
1997년 산이치 증권, 홋카이도 타쿠쇼쿠 은행 등이 연이어 경영 파탄에 이르는 금융 위기 상황에서, 당시 대장대신이었던 미쓰즈카는 눈에 띄는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29]. 이듬해인 1998년 1월에는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에 대한 책임 논란 속에 대장대신 직에서 물러났다[25]. 같은 해 미야기현 지사 선거에서 자민당 추천 후보가 패배하면서 지역 정치에 대한 그의 영향력도 약화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내각총리대신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2003년 정계를 은퇴했다[25].
4. 1. 비리 의혹
주식 시세 조종 의혹이 있던 국제항업 사건이나, 스승 혼마 슌이치(本間俊一)의 아들인 혼마 슌타로(本間俊太郎) 미야기현 지사가 체포된 제네콘 비리에 연루되었다는 설이 제기되는 등, 여러 의혹에 휩싸여 "의혹의 백화점"이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정치 선배인 하마다 코이치는 자신의 저서 『일본을 망친 아홉 명의 정치가』에서, 나카가와 이치로의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출마 당시 미쓰즈카가 "돈으로 모든 것을 움직이고, 나카가와 씨가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며 출세했다"고 그의 인품을 강하게 비판했다. 하마다는 "이 남자가 수상이라도 된다면 일본은 분명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미쓰즈카의 사퇴를 촉구했고, 책에서 다룬 아홉 명의 정치인 중 미쓰즈카를 가장 신랄하게 비판했다.
1997년 말부터 불거진 대장성 접대 비리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1998년 1월 대장대신 직에서 사임했다[25].
4. 2. 행복의 과학과의 관계
행복의 과학 출판물에 따르면, 1991년 미쓰즈카의 아내 스미코(寿子)가 해당 교단에 입신했고, 이후 미쓰즈카 본인도 정회원이 되었다고 한다.[35] 행복의 과학 측은 미쓰즈카를 회원으로 인식했지만, 1995년 8월 14일 보도된 미쓰즈카 측의 입장은 달랐다. 당시 미쓰즈카 의원 사무소는 "행복의 과학으로부터의 일방적인 지지이며, 그저 당혹스럽다"고 밝혔고, 미쓰즈카 본인 역시 "서적은 구독하고 있지만, 정회원이라는 인식은 없다"고 말했다.[37] 또한 1996년 미쓰즈카는 "ほめ殺し|호메고로시일본어" (칭찬하며 망신 주기)일 것이라고 내 스태프는 경계했다. 대표인 오카와 류호와는 만난 적이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36]한편, 1995년 7월 10일 도쿄 돔에서 열린 행복의 과학의 축제 御生誕祭|고세이탄사이일본어에 미쓰즈카가 참석했으며, 오카와 류호의 新生日本の指針|신세이 닛폰노 시신일본어 강연 중 그의 영상 메시지가 상영되어 5만 명의 참석자에게 소개되었다.[37][35] 이 강연에서 오카와 류호는 마쓰모토 사린 사건이나 지하철 사린 사건으로 대표되는 옴진리교 사건 해결에 미쓰즈카가 크게 기여했으며, "사실상의 내각총리대신"으로서 국가 위기 관리에 사자처럼 분투했다고 평가했다.[38] 또한 당시 경제 운영이나 미일 무역 마찰 등 외교 문제에서의 정치적 수완을 높이 평가하며 미쓰즈카를 "차기 총리대신으로 추천한다"고 발언했고,[39] 이에 도쿄 돔의 관중들은 큰 박수로 호응했다. 이 행사의 내용은 언론에 보도되었고, 서적 『新生日本の指針|신세이 닛폰노 시신일본어』[40]과 VHS 비디오로 배포되었다.
행복의 과학은 1995년 8월 『三塚博総理大臣待望論|미쓰즈카 히로시 소리다이진 타이보론일본어』이라는 책을 발간하고, 잡지 더 리버티 1995년 10월호에서는 '총리 후보를 채점한다'는 특집 기사를 통해 미쓰즈카에게 최고점을 부여했다. 같은 해 8월 8일에는 도쿄 히비야 야외음악당을 중심으로 히비야 공원에 약 10만 명이 모여 '미쓰즈카 총리 실현을 위한 모임'을 열기도 했다.[41]
5. 역대 선거 기록
연도 | 선거 종류 | 회차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선거 제도 |
---|---|---|---|---|---|---|---|---|---|---|
1972년 | 총선거 | 33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91,361표 | 13.7%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76년 | 총선거 | 34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2,771표 | 11.1%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79년 | 총선거 | 35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91,751표 | 12.9%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80년 | 총선거 | 36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107,704표 | 14.3%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83년 | 총선거 | 37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114,369표 | 15.7%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86년 | 총선거 | 38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159,417표 | 20.83%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90년 | 총선거 | 39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138,949표 | 15.81%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93년 | 총선거 | 40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134,076표 | 16.63%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96년 | 총선거 | 41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81,784표 | 53.14% | 1위 | 당선 | 소선거구제 |
2000년 | 총선거 | 42회 | 중의원 의원 | 미야기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84,278표 | 51.99% | 1위 | 당선 | 소선거구제 |
6. 소속 정당
미쓰즈카 히로시는 정치 경력 대부분을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했다. 1970년 센다이시장 선거에 자유민주당 미야기 현련의 요청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1972년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 공천을 받아 처음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민주당 내에서 정조회장, 당 간사장 등 주요 당직을 역임했다.
7. 소속 단체
미쓰즈카 히로시는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정치 활동을 하였다. 당내에서는 후쿠다 다케오 파벌에 속했으며, 이 파벌은 이후 아베 신타로가 계승하여 아베파가 되었다. 아베 신타로 사후에는 미쓰즈카 본인이 파벌을 이어받아 미쓰즈카 파벌을 이끌었다.
또한, 일본의 보수 우익 성향 단체로 알려진 신도정치연맹 국회의원 간담회의 회원이었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the Modern Politics of Jap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뉴스
Tarnished prize
https://www.independ[...]
1993-07-24
[3]
학술지
The Seirankai and the Fate of its Members: The Rise and Fall of the New Right Politicians in Japan
[4]
뉴스
Ex-Finance Minister Mitsuzuka to retire from politics
http://www.thefreeli[...]
2004-08-11
[5]
뉴스
Obituary: Mutsuki Kato
http://www.japantime[...]
2006-03-02
[6]
서적
The Japanese Prime Minister and Public Poli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7]
학술지
Truth Behind LDP's Loss
https://www.iuj.ac.j[...]
1993-09-00
[8]
웹사이트
Getting Rid of Kaifu
http://www.rcrinc.co[...]
[9]
학술지
Rational Foundations for the Organization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in Japan
1992-04-00
[10]
서적
Political Business in East Asia
Taylor & Francis Group
[11]
학술지
Electoral Reform and the Fate of Factions: The Case of Japan's Liberal Democratic Party
1999-01-00
[12]
뉴스
Few Takers For Japanese Finance Post
https://www.nytimes.[...]
1996-01-10
[13]
학술지
Zoku Power and LDP Power: A Case Study of the Zoku Role in Education Policy
1991-12-00
[14]
뉴스
Japanese leader shuffles cabinet
https://www.nytimes.[...]
1988-12-28
[15]
뉴스
Takeshita Shuffles Cabinet but Retains Key Ministers
https://www.latimes.[...]
1988-12-28
[16]
뉴스
Japanese foreign minister's first visit to US next month
https://news.google.[...]
1989-06-17
[17]
서적
Stross: Bulls in the China Shop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8]
웹사이트
New cabinet inaugurated
http://web-japan.org[...]
1996-11-08
[19]
뉴스
Japan's Top Finance Bureaucrat Resigns, a Day After His Leader
https://www.nytimes.[...]
1998-01-29
[20]
학술지
Changes in the handling of corruption scandals in Japan since 1994
[21]
뉴스
Bribery charges hit Japan's rescue plan
https://www.independ[...]
1998-02-01
[22]
뉴스
My Way in "Wonder Islands"
http://www.spf.org/y[...]
2000-06-00
[23]
뉴스
LDP veteran Mitsuzuka dies
http://www.japantime[...]
2004-04-27
[24]
웹사이트
本会顧問 三塚 博先生を悼む
http://nichiju.lin.g[...]
[25]
웹사이트
三塚博(みつずか ひろし)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6]
웹사이트
JR誕生、33年目の真実…不可能とされた国鉄民営化、改革3人組はJRの最高権力者に(2/5)
https://www.excite.c[...]
2020-05-29
[27]
뉴스
元自民党政調会長 亀井静香さん(1936年~)、<13> 橋龍のウインク 入閣拒否 説得され建設相に
https://www.chugoku-[...]
2020-02-21
[28]
간행물
衆議院会議録
https://kokkai.ndl.g[...]
[29]
뉴스
1997年11月24日 山一証券が自主廃業 『日本式経営』の終焉 象徴
http://www.tokyo-np.[...]
1997-11-24
[30]
잡지
亀井静香の政界交差点/小泉純一郎-風を読み切る「天才」に最後で勝った、亀井は「安倍晋太郎先生が亡くなった後、小泉と森喜朗が三塚さんを総理総裁候補として担ぎ出して3人で派を牛耳っていたから派から出た」と述べている
2019-04-06
[31]
서적
三塚博総理大臣待望論
幸福の科学出版
1995-08-10
[32]
회의록
予算委員会
https://kokkai.ndl.g[...]
1984-02-14
[33]
서적
少女雑誌論
東京書籍
[34]
잡지
亀井静香の政界交差点、第5回、三塚博、進次郎など足元にも及ばない弁舌の天才の「三六戦争」
2018-11-24
[35]
서적
新生日本の指針
[36]
뉴스
[96政局 言いたい聞きたい](6)三塚博・自民前幹事長(連載)
読売新聞社
1996-04-30
[37]
서적
AERA 1995年8月14日号
朝日新聞社
[38]
서적
新生日本の指針
[39]
서적
新生日本の指針
[40]
서적
新生日本の指針
幸福の科学出版
1995-07-31
[41]
간행물
ザ・リバティ
199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